글을 자주 쓰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 ‘되다’와 ‘돼다’ 사이에서 고민한 적이 있을 것입니다. 되다 돼다 차이 일상 속 SNS, 메신저, 이메일, 블로그 글 등 다양한 글쓰기 상황에서 자주 마주치는 이 표현은 말로 들으면 비슷하게 들리기 때문에 더욱 혼란을 줍니다. 하지만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돼다’는 우리말에 존재하지 않는 잘못된 단어입니다. 올바른 표현은 항상 ‘되다’이며, ‘돼’는 ‘되다’의 활용형일 뿐입니다. 이 글에서는 ‘되다’와 ‘돼’의 활용을 중심으로 올바른 맞춤법 사용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되다’는 기본 동사입니다. 이 동사가 다양한 형태로 활용될 때 축약되어 나타나는 형태가 ‘돼’입니다. 예를 들어 ‘되어’는 ‘돼’로 줄어들고, ‘되었다’는 ‘됐다’로 줄어듭니다. 따라서 ‘돼’는 문장에서 쓰일 수 있지만, ‘돼다’는 문법적으로 틀린 표현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돼다’, ‘돼었다’와 같은 비표준 표현이 자주 등장하는 이유는 발음상의 유사성 때문입니다. 소리로 들으면 ‘되다’나 ‘돼다’ 모두 비슷하게 들리기 때문에 혼동이 생깁니다.
예를 들어,
헷갈리지 않기 위해서는 ‘되다’가 어떻게 변형되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는 ‘되다’의 주요 활용형 예시입니다.
예문으로 살펴보기:
이처럼 ‘돼’는 항상 ‘되다’에서 파생된 활용형이므로 단독 동사로 ‘돼다’를 쓰는 것은 맞춤법상 틀립니다.
헷갈릴 때 이렇게 구분하세요
‘돼’가 맞는지, ‘되다’를 써야 하는지 헷갈릴 경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판단해보세요.
잘못된 표현 | 올바른 표현 | 설명 |
---|---|---|
일이 잘 돼다 | 일이 잘 되다 | ‘돼다’는 없음 |
그렇게 하면 안 돼다 | 그렇게 하면 안 돼 | ‘돼’는 ‘되어’의 축약형 |
성공이 돼었어 | 성공이 되었어 / 됐어 | ‘돼었어’는 비표준 표현 |
나도 그 팀에 돼고 싶어 | 나도 그 팀에 되고 싶어 | ‘돼고’는 존재하지 않음 |
기계가 자동으로 돼요 | 기계가 자동으로 돼요 | 올바른 표현 (‘되어요’의 줄임말) |
Q1. “시험이 잘 돼야 할 텐데.” 맞는 표현인가요?
A1. 네, ‘돼야’는 ‘되어야’의 축약형으로 정확한 표현입니다.
Q2. “이거 전자레인지에 데워도 돼?” 맞춤법 맞나요?
A2. 맞습니다. ‘돼’는 ‘되어’의 준말로, 허락의 의미에서 적절하게 사용됐습니다.
Q3. “그렇게 하면 안 돼!”와 “그렇게 하면 안 되!” 중 뭐가 맞나요?
A3. “안 돼!”가 맞습니다. ‘되다’의 활용형인 ‘돼’가 올바릅니다.
Q4. “내가 회장이 돼는 건 어때?” 이 문장 괜찮나요?
A4. 틀렸습니다. ‘돼는’은 없으며, “되는”이 맞는 표현입니다.
Q5. “내 꿈이 이루어졌어. 나 가수가 돼었어!” 맞나요?
A5. 틀렸습니다. ‘돼었어’는 비표준어이고, “되었어” 또는 “됐어”가 맞습니다.
Q6. “부장님, 저 이제 어떻게 돼요?” 이 표현 자연스러울까요?
A6. 맞습니다. ‘돼요’는 ‘되어요’의 줄임으로 자연스럽고 정확한 표현입니다.
Q7. “이렇게만 하면 성공이 돼.” 이 문장 맞나요?
A7. 다소 어색합니다. ‘성공이 된다’ 또는 ‘성공할 수 있다’는 표현이 더 적절합니다.
Q8. “이 프로그램은 자동으로 설치돼.” 맞는 표현인가요?
A8. 맞습니다. 수동의 의미로 ‘설치되어’의 축약형 ‘설치돼’가 정확하게 사용됐습니다.
Q9. “걔, 의사 돼다고 들었어.” 이 문장 맞나요?
A9. 틀렸습니다. ‘돼다고’는 없으며, “됐다고” 또는 “되었다고”가 맞습니다.
Q10. “그 기계는 버튼만 누르면 작동돼.” 이 표현 괜찮을까요?
A10. 맞습니다. ‘작동되다’의 축약형으로 ‘작동돼’는 적절한 표현입니다.
‘되다’와 ‘돼’의 차이를 확실히 구분하는 법은 단순합니다. ‘되다’는 기본형이고, ‘돼’는 활용형입니다. ‘돼다’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쓰기 전 한 번만 더 생각하고, ‘되어’, ‘되었다’로 바꿔 써보는 습관만 들이면 누구나 맞춤법 실수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올바른 문장은 신뢰감을 주고, 글의 완성도를 높여줍니다.
last name 뜻, first name 뜻 영어권에서 개인을 지칭할 때 사용하는 이름 체계는 ‘last name’과…